반응형 종합정보망126 2023년 술 값 인상, 소주병 인상 요약정리 2023년 4월 1일부터 주류 맥주와 막걸리에 부과되는 세금이 인상되어 주류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이는 정부가 최근 주류 맥주와 막걸리에 부과되는 주세를 전년 대비 3.57% 가량 인상하기로 공표했기 때문이다. 술을 애용하는 소비자 및 주류 자영업자 들은 부담이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부터 가격이 인상되는 술(주류 수입, 주류 면세)을 알아보자. 목차 1. 하이네켄코리아(맥주) : 2월 10일부터 전 제품 가격 7~10% 인상 하이네켄 시리즈(병,캔,케그) 타이거 에델바이스 데스페라도스 애플폭스 * 50ml 4캔 할인행사 기준 1만1천원 → 1만2천원 예상. 2. 디앤피스피리치(위스키) : 2월 1일부터 전 제품 가격 평균 13% 인상 맥캘란 하이랜드파크 네이키드몰트 페이머스 그라우스 바카.. 2023. 1. 27. 둔촌주공, 2월 말부터 지방 다주택자 무순위 노려 국토교통부는 2월 말부터 혼란 방지를 위해 개편된 청약제도를 한 번에 시행할 예정으로 지방의 다주택자도 서울 아파트 '줍줍'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공인중개사 부동산분야 전문인들은 지금 아파트 값은 '아직도 높은 가격이다' 라는 우려스러운 말이 나오고 있으며, 23년에 부동산 가격이 더 떨어진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주택청약 한국부동산원 주택청약 청약Home 입니다. www.applyhome.co.kr 1. 국토부 제도개편 11·10대책과 1·3 대책에서 발표한 무순위 청약의 거주지 요건 및 무주택요건을 동시에 폐지해 2월 말에 시행할 계획이다. 무순위 청약은 입주자 공고 후 미분양이나 미계약 등이 발생해서 추가로 진행하는 청약접수로 이른바 '줍줍'으로 불린다. 1) 11·10대책 요약 '서.. 2023. 1. 26. 13년만, 주식거래 호가 가격 단위 변경 주식거래에서 1월 25일부터 13년 만에 호가가격단위가 변경되어 자본 시장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로 인해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호가단위가 더 세분화하면 개인 투자자에게 돌아가는 이익이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일부 개인 투자자 사이에서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와서다. 아래에서 변경 된 가격단위를 자세히 알아보자. 목차 유가증권 주가의 가격 대비 호가 1000~2000원 : 5원→1원 1만~2만원 : 50원→10원 10만~20만원 : 500원→100원 1000원 미만 : 1원 2000~5000원 : 5원 5000~1만원 : 10원 2만~5만원 : 50원 5만~10만원 : 100원 20만~50만원 : 500원 50만원 이상 : 1000원 코스닥 과 코넥스 1000.. 2023. 1. 26. 개인정보 유출, 조회 및 확인 방법 요즘 내가 모르는 사이에 나의 개인정보가 여기저기 노출되고 있으며, 심지어 개인 핸드폰으로 모르는 발신 전화번호로 금융, 대출, 투자 등 관련하여 전화가 오거나 스매싱 문자가 와서 곤혹스러운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개인이 직접 확인하고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겼으니 바로 알아보도록 하자. 목차 개인정보 유출 확인 서비스 사이트 주소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고자 개인정보보호 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이달 16일 오전 10시부터 자신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털린 내 정보 찾기 서비스 (https://kidc.eprivacy.go.kr/) 를 시작한다고 15일 밝혔다. 개인정보보호 위원회는 다크웹 등에서 불법 유통되는 2천300만 건의 국내 계정정보와 구글에서 제공하는 비밀번호.. 2023. 1. 25. 2023년 평생교육 바우처 카드 즉시 신청방법 정부에서는 2023년 1월 16일 경제적 격차에 따른 교육격차를 완화하고, 저소득층 성인의 자기계발 및 자아실현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평생교육바우처라는 제도를 발표했습니다. 그럼 평생교육바우처를 자세히 알아보고 해당 대상자는 신청하여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바랍니다. 평생교육 바우처란? 평생교육바우처는 학습자가 자신의 여건, 교육수준 등에 맞추어 자율적으로 학습활동을 결정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연간 35만 원(최대 70만 원)을 국가가 제공하는 평생교육 이용권입니다. 지원 대상 및 내용, 신청 방법 1. 지원대상 만 19세 이상 성인 중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기준 중위 소득 65% 이하인 가구의 구성원* * 1인 가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 중복지원 불가 : 대학생의 경우 한국장.. 2023. 1. 24. 현장용어 히꾸미, 히꼬미 의 뜻? 안녕하세요. 이번 다룰 현장용어는 '히꼬미' 입니다. 이 용어는 건설현장에서 구조물의 단열재 설치나 마감재 시공으로 필요한 부위에 미리 시공자가 엔지니어링을 통하여 골조부위의 변화를 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히꼬미 란? 현장에서 사용되는 이 용어는 '히꼬미' 라고 불리기도 하고 '히꾸미'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대부분 '히꾸미 시킨다.'라고 이야기들 합니다. 일본어로 ‘히꼬미‘는 引(끌인), 込(담을입), ’引っ込み(ひっこみ)’라고 적고 때로 ’히꾸미’ 라고도 하는데 일본어로도 잘못된 표현입니다. 즉, '끌어넣다, 물러 넣다'라는 의미라고 볼 수 있습니다. 히꼬미 해당부위 단열재 부착부위 :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골조공사시 콘크리트 벽면의 일부를 후속 마감작업을 위해 후퇴(s.. 2023. 1. 24. 현장용어 시야기 의 뜻? 건설현장 중 주택, 건축현장에서 흔히 쓰는 이 용어는 미장 관련 종사자가 특히 많이 쓰는 용어로 콘크리트 타설 및 바닥 몰탈작업 시 사용하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작업의 마지막 마감을 뜻하는 용어로 좀 더 정확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시야게, 시야기 란? 현장용어로 시야게 또는 시야기라고 이야기하며 일본어로 ‘仕上げ(しあげ)‘라고 적습니다. 물론 이것도 우리글에는 없는 일본식 한자어입니다. 일본어사전을 보면 '일의 끝손질, 마지막 공정'을 뜻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건축용어사전의 풀이를 보면 좀 더 명확합니다. '건물의 내 외장 등 직접 눈에 보이는 부분의 최종 공정'이라고 표현되어 있습니다. 건설현장에서는 주로 미장공사에서 '미장시아게'처럼 마지막 정벌작업을 의미할 때 많이 쓰는 용.. 2023. 1. 23. 현장용어 우마 의 뜻과 현장적용 기준 현장에서 작업 시 사람 키높이 이상의 작업위치에 해당되는 곳은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이 작업발판 위에서 작업 시 2인 1조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때 이 작업발판을 대부분 '우마'라는 용어로 통칭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마'의 정확한 뜻과 현장적용기준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목차 우마의 뜻과 유래 현장용어인 '우마'는 일본어로 馬(말마)라고 적습니다. 우리말이나 일본어나 모두 말(馬)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일본어사전을 확인해 보면 '아래쪽이 벌어진 네발 달린 발판', '주로 미장이가 사용하는 발판' 의 뜻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건축용어사전에서는 '일반적으로 네발 모양으로 위에 무언가를 올려놓을 수 있는 형태의 것'을 모두 馬라고 하고 있습니다. 일본현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것을 '우마'.. 2023. 1. 23. 현장용어 자바라 의 뜻? 현장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들어본 용어로써 한 가지 분야에만 쓰이는 용어가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사물을 지칭하지만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용어 '자라바'에 대하 알아보고자 합니다. 자바라 란? 현장용어로 '자바라'라 하며 일본어로 蛇(뱀사), 腹(배복)로 적습니다. 우리말에는 쓰이지 않는 한자어입니다. 일상에서는 자바라는 아코디언의 주름 부분처럼 주름진 물건을 통칭하여 말합니다. 접문, 후렉시블, 주름관, 옛날사진기 등을 이야기하며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펌프카의 압송관의 끝부분의 고무재질의 주름관을 칭할 때 흔하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한자어를 보면 蛇(뱀사), 腹(배복)을 쓰고 있어 뱀의 배부분을 말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압송관의 주름관은 뱀의.. 2023. 1. 22. 현장용어 함바 의 뜻? 건설현장을 다니다 보면 외부에 '함바'라는 간판을 많이 보게 될 것이며, 심지어 현장 내에서도 '함바'라는 곳이 있어서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불필요한 시간을 소모하지 않고 식사를 할 수 있는 곳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함바라는 용어를 정확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함바의 뜻과 유래 현장용어로 함바라고 이야기하며 일본어로는 飯(밥반), 場(마당장)으로 적고 hamba라고 영어로 적습니다. 단어의 뜻을 풀이하면 말 그대로 '밥을 먹을 수 있는 장소' 라고 풀이할 수 있겠습니다. 일본어 사전의 풀이를 보면 '토목공사나 광산 등의 현장에 있는 노무자 합숙소라 풀이되어 있으며, 그곳에 노무자를 합숙시켜 놓고 십장이 지배하는 제도라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오래전 현장에서 책임자가 식사시간이나 횟수 등으.. 2023. 1. 22.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 반응형